오늘 sbs스페셜 바디버든 편 보셨나요? 일회용 생리대의 유해성에 대한 문제가 다뤄졌는데요. 면생리대가 좋은 것은 모두가 알고 있지만 사용하는데 있어서 귀차니즘이 얻을 수 있는 이점보다 큰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주저 합니다.1회용 생리대가 얼마나 몸에 해로운지,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이 좋지 않은지 등을 알고나면 올바른 선택을 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포스팅을 해봅니다. '바디버든'이란?을 뜻하는 단어 입니다. ‘바디버든’이 높다고 하면 우리 인체 내의 유해물질 축적 수준이 높아서 관리를 해야한다는 말이 됩니다.가습기 살균제 사건으로 인해서 한국인들은 화학제품에 대한 인식이 많이 달라졌는데요. 여전히 몇년 전에도 방송에서 ‘환경호르몬’과 관련된 다큐가 나온적이 있습니다. 생리통을..
'유한킴벌리'라는 이름은 우리나라에서 모르는 사람이 별로 없을 정도로 유명한 기업 입니다. 엄청난 마케팅 공세 때문인지 특히 아이를 가진 엄마들의 경우에는 '하기스'시리즈는 '성능'이나 '안전성'에 대한 의심은 거의 하지 않고 구매하게 됩니다. 그런데 유한킴벌리 하기스 물티슈에서 유해물질이 검출 되었다고 하는데요.. 그 무엇보다 소중한 아이에게 사용하는 제품이 이런 말도 안되는 일이 벌어졌다는 것은 믿기 싫은 사실 입니다. '몽드드'도 그렇고 유명하다는 곳에서 왜이렇게 안전문제에 있어 소홀한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한국의 '규제'가 약해서 일까요? 한번 사과하고 '이벤트' 해버리면 금방 잊혀지는 대한민국 소비자들의 특성을 잘 파악한 것 일까요? 이렇든 저렇든 기분 나쁜것은 매한가지 입니다. 유한킴벌리 ..
일단 부광약품 치약 또한 회수 작업에 들어가는군요. 시린메드, 안티프라그는 쓰는 분들은 계속 쓰는 제품이라 아마도 오래 쓰신분들이 충격이 좀 크실 듯 합니다.하지만 너무 충격받지 않으셔도 된다고 미리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제가 이전 글에서도 메디안치약에 대해서 화를 좀 냈지만.. 아모레퍼시픽의 경우에는 가장 큰 문제가 트리클로산 등의 문제로 인해서 몇달전에 지적을 받은 해당 치약이 또 걸렸고, 이번에는 자신들이 무슨 성분의 재료를 쓰는지도 몰랐다고 해서 그에 대해 배신감이 상당히 컸습니다. 문제가 되고있는 CMIT/MIT 성분이 가습기 살균제로 큰 문제가 되긴 했지만 미국이나 유럽에서도 여전히 쓰이고 있는 성분이고 극미량이라 현실적으로 큰 문제를 일으키기는 힘이들지만, 식약처에서 금지를 했으니 쓰지 말아..
아모레퍼시픽 메디안 치약 현재 이슈가 되는 이유는 유해물질 중 하나인 CMIT/MIT가 들어가있기 때문입니다. 지금 제조사에서는 몰랐다고 하는데 이게 변명이 되는건지 웃음만 나옵니다. 만든 늬들이 모르면 도대체 누가 알아야 하나요..아모레퍼시픽 치약 중 십여개의 제품들이 유해물질인 CMIT, MIT가 들어가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메디안 치약이 실시간 검색어에까지 오른 이유는, 아무래도 사람들이 많이 쓰고 있기 때문일 것 입니다. 사실 국민치약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지요.이때까지 내가 팔아준게 얼만데 어휴 열받아..어떤 치약에 유해물질이 있나 봅시다. '메디안 치약 회수, 지난번에 이어 또 큰 실망 ' 이번에 문제가 된 아모레퍼시픽 유래물질 치약은 시중에 상당히 많이 유통 되고 있는 치..
하아 방향제 유해물질 뉴스를 뒤늦게 보고 충격을 받았습니다. 향기나는 제품들을 좋아해서 집에 페ㅂ**는 당연히 쓰고.. 자동차 방향제, 화장실과 방안에 디퓨저 각각 있는데.. 아니 있었는데…(다 바꿨어요) 그리고 집에서 음식하고 나면 캔들.. 많이 썼는데 제가 우리집 공기를 살인적으로 만든 주범이라니 당황스러워서 그 뉴스를 한참 쳐다봤습니다. 방향제 유해물질만 문제가 아니라 캔들 미세먼지도 그에 못지 않게 나쁜 영향을 준다는걸 알았습니다. 관련 내용 정리해봤어요. 안전한 방향제(스프레이형, 가정용 디퓨저 등) 어떤걸 골라야 할까. 우리가 시중에서 흔하게 구매했던 탈취제, 방향제에서 유해물질이 나왔다고 합니다.. 그냥 단순히 유해한게 아니라. ‘1급 발암물질’이라고 하네요 참나… 옥시 사건도 그렇고 이걸 ..